Computer 자료/스마트폰

“스미싱 꼼짝 마” AhnLab 안전한 문자 출시!!!

法雨_김성근 2013. 10. 24. 14:40
“스미싱 꼼짝 마” AhnLab 안전한 문자 출시!
AhnLab | 2013-10-24

‘** 앱 설치하면 아메리카노 공짜’

1‘모바일 돌잔치 초대장 다운로드’


URL이 포함된 위와 같은 문자를 받아본 경험이 있다면 스미싱(Smishing)을 의심해도 좋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리는 스미싱 수법이 더욱 교묘해지고 있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안랩은 최근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에서 스미싱을 탐지하는 전용 보안 앱 ‘AhnLab 안전한 문자(이하 안전한 문자)’를 출시하고 구글 플레이를 통해 무료로 배포했다.

 

 

올해 상반기 스미싱 피해 17억 원에 달해


스마트폰 사용자를 타깃으로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문자를 보내 악성코드를 설치한 뒤 개인 금융정보를 빼내 금전적 손해를 입히는 스미싱 피해 건수가 올해 상반기 2만 2312건을 기록했다. 피해 금액도 17억 원에 달한다. 초기에는 ‘공짜 쿠폰’, ‘통신사 환급금’ 등으로 유인하던 것이 근래에는 ‘모바일 돌잔치 초대장’, ‘청첩장’, ‘교통법규 위반 안내 문자’ 등으로 더욱 다양해지는 추세다. 사용자가 URL을 클릭하도록 공격자 역시 온갖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급증하고 있는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미싱 탐지 앱 ‘안전한 문자’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안전한 문자’면 스미싱 걱정 끝!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는 구글 플레이를 통해 ‘안전한 문자’를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안전한 문자’ 다운로드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ahnlab.safemessage

 

‘안전한 문자’는 ▲악성 URL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 탐지 ▲URL을 통한 웹 브라우징 실행시 실시간 감지 기능 ▲알 수 없는 소스(출처) 허용 설정 여부 확인 등 3가지 다차원 보안 기능으로 스미싱 위협을 탐지한다.

 

‘안전한 문자’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운로드한 앱을 실행한 뒤 약관에 동의하면 ‘안전한 문자’ 안내 화면이 나타난다. ‘안전한 문자’ 소개, 앱의 기능에 대한 안내를 차근차근 읽어본 뒤 차례로 ‘다음’을 클릭한다.

 

 

 

 

 

 

스미싱 피해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해서는 [그림 8]과 같이 ▲나쁜 문자 실시간 감시 켜기! ▲나쁜 링크 감시 켜기! ▲알 수 없는 출처(소스) 체크 안하기! 기능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글 플레이나 통신사 마켓 등 공식 앱 스토어가 아닌 곳에서 설치한 앱은 출처를 알 수 없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체크는 해제해 두는 것이 안전하다. 앱의 안내를 따르면 해당 설정이 완료된다. 


위 [그림 8]의 ‘시작하기’를 클릭하면 사용자 스마트폰 수신함에 스미싱 문자가 없는지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보여준다. 여기까지 완료하면 이제 ‘안전한 문자’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안전을 위해 스미싱 감시를 시작한다.
 
‘안전한 문자’는 사용자가 URL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URL을 자동으로 검사해 [그림 10]과 같이 악성 여부를 알려준다. 메시지에 포함된 URL이 악성으로 확인되면 위험을 알리는 경고창이 뜬다. 아직 악성 여부가 판단되지는 않았지만, 악성이 의심스러운 URL이 포함된 문자는 스마트폰 상단 상태 확인 바의 ‘안전한 문자’ 아이콘이 노란색으로 바뀌어 ‘주의’를 준다. 그 외 안전한 문자는 초록색으로 표시된다. 
 


‘안전한 문자’ URL 실행 감시 기능도 제공

 

특히 ‘안전한 문자’는 URL 실행 실시간 감시 기능도 제공하고 있어 더욱 안전한 스마트폰 환경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문자 메시지뿐 아니라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메모장 등 스마트폰의 다양한 환경에서 URL을 실행해 접속할 경우에도 악성 앱 다운로드 여부를 탐지해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는 악성 URL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받거나, 악성 앱을 다운로드하는 URL 링크를 감지하면 모바일용 백신 앱 ‘V3 Mobile’로 치료하면 된다.

 

주진호 안랩 세일즈마케팅팀 차장은 “‘안전한 문자’는 메시지, URL, 알 수 없는 소스 등을 모두 감시하는 3단 보안 체계를 제공한다”며 “스마트폰을 더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문자’와 ‘V3 Mobile’ 등 믿을 만한 백신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스마트폰 이용자가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코드가 설치되도록 해 개인 및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신종 사기 수법을 말한다.

| 세일즈마케팅팀 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