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IT에 대해 잘 안다고 자부해왔던 ‘황당한’씨. 황씨는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시됐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매장으로 달려가 새 휴대전화를 집어 들고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이웃사촌인 ‘자만심’씨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앱’이라며 자랑 삼아 사용법을 늘어놓았던 것이다. 황씨는 새 휴대전화를 들고 서둘러 안드로이드 마켓으로 들어가 인기 순위대로 앱을 다운로드 받았다. 자만심씨에게 자랑할 꿈에 부풀어 있던 황씨, 과연 그에겐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전문가에게 수소문해본 결과, 인기를 끌고 있는 기타 앱에 악성코드를 숨겨놓고 앱의 이름을 유사하게 변경한 뒤 다시 마켓에 출시해 놓은 것. 인기 앱으로 입소문이 자자했던 터라 당한 이들도 상당히 많았다. 인터넷에도 해당 앱의 문제를 고발한 사례들이 이미 즐비했다.
스마트폰을 애지중지 하는 이들에게는 날벼락 같은 소식이겠지만, 이런 사례는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지난 2011년 최초로 발견된 이후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과 서드파티 마켓, P2P 등 다양한 경로에서 리패키징앱의 배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단지 ‘얼굴 없는 그림자’에 불과하다면 걱정할 일이 없다. 문제는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앱으로 둔갑해 개인에 관한 각종 정보를 빼내간다는 점이다. 이것이 금융정보라면 피해는 더 심각하다. 꺼진 불도 다시 보듯, 두 눈 부릅뜨고 다운받은 앱도 재확인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유행하는 앱을 다운받을 때, 이를 주의 깊게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앱의 이름이 듣던 것과 조금이라도 다르거나 제작자의 정보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를 때는 리패키징을 일단 의심해볼 수 있다.
|
'Computer 자료 > 스마트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저장 공간 늘리는 방법 (0) | 2015.01.17 |
---|---|
지긋지긋한 스팸문자를 차단하는 방법 (0) | 2014.04.06 |
스마트폰 정보 지키는 Smart한 방법 (0) | 2014.03.31 |
“스미싱 꼼짝 마” AhnLab 안전한 문자 출시!!! (0) | 2013.10.24 |
피싱, 파밍, 스미싱의 습격 “고객님, 당황~하셨어요?" (0) | 201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