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齋)는 9재, 100일재와 같이 때를 맞추어 청정한 마음으로 불승(佛僧)께 공양을 올려 공덕을 닦는 의식이다.
재의 어원은 범어 uposadha에서 유래되었는데 스님들의 공양의식을 뜻한다.
대개 공양은 집안의 경사나 상사(喪事), 제사 때 이루어지므로 나중에는 제사의식으로까지 인식되었다.
<목련경>에는 공양을 받은 스님들의 숫자에 따라 백승재, 오백승재, 천승재의 명칭이 나오고 있고, 중국에서는 양무제가 사람의 숫자에 제한하지 않고 누구나 자유로이 동참할 수 있는 무차대회(無遮大會)를 열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반승(飯僧)이라는 명칭으로 곳곳에 나오고 있다.
원래 이 재는 스님들에게 공양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간단히 불전의식을 집행하고 공양에 임했으나 그것이 점차 큰 법회의식으로 발전하면서 인왕백고좌도량(仁王百高座道場)이니 금강명경도량(金剛明經道場)이니 하는 호국법회의 형식으로까지 번져나갔으며 나중에는 수륙재(水陸齋), 영산재(靈山齋), 49재, 백일재에 이르기까지 산 사람이나 죽은 사람을 위해 베풀어지는 일체의 행사를 통칭하는 말로 되었다.
그런데 재공의식에는 반드시 몸과 입과 마음을 정재하고, 또 만드는 음식도 청정해야 하므로 음식을 준비하는 곳을 정재소(淨齋所)라 한다.
일을 각기 분담하는 재시용상방(齋時龍象榜) 또는 육색방(六色榜)이라 하여 그 명목을 색색의 종이에 써서 붙였다.
인도(印度)의 재는 각기 자기 집에서 준비한 공양물을 초대소로 옮겨 공양하거나 절로 가지고 가서 공양하였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깊은 산속에 절이 있고 또 시중에 있다 하더라도 운반하기가 번거로워 절에다 맡겨 재공을 하게 하므로 이와 같은 전문적인 육색방이나 용상방이 생긴 것이다.
아무튼 불교에서 재는 출가승려들의 공양대접으로부터 기도, 불공, 시식, 제사, 낙성, 기타 법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불교 공부방 > 전각,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례(葬禮), 천도의식(薦度儀式)에서의 시다림(尸陀林) (0) | 2011.03.04 |
---|---|
사찰마다 의식이 다른 이유 (0) | 2011.03.04 |
불교와 음력 (0) | 2011.03.04 |
법당의 존상과 탱화 (0) | 2011.01.24 |
공포의 구조(양식) (0) | 201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