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1월에 변경된 금강경의 일부 내용을 정리 했습니다.
관심있는 法友 여러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표준 금강경과 종전의 금강경과의 차이점
( 佛紀2553년(西紀2009년) 개정)
분 과 |
위 치 |
삭 제 |
첨가 |
9.일상부상분 一相無相分 |
~ 시제일이욕아라한 세존 아부작 시념 ~ 是第一離欲阿羅漢 世尊 我不作 是念 |
세존 世尊 |
|
14.이상적멸분 離相寂滅分 |
~ 시인즉위제일희유 하이고 차인 무아상 무인상 ~ 是人則爲第一稀有 何以故 此人 無我相 無人相
무중생상 무수자상 소이자하 ~ 無衆生相 無壽者相 所以者何 ~ |
무 無
무, 무 無, 無 |
|
~ 여래설 제일 바라밀 즉비제일바라밀 시명제일바라밀 ~ 如來說 第一 波羅蜜 卽非第一波羅蜜 是名第一波羅蜜 |
즉 卽 |
| |
~ 수보리 인욕바라밀 여래설비인욕바라밀 ~ 須菩提 忍辱波羅蜜 如來說非忍辱波羅蜜
시명인욕바라밀 하이고 수보리 여아석위가리왕 ~ 是名忍辱波羅蜜 何以故 須菩提 如我昔爲歌利王 ~ |
시명인욕바라밀 是名忍辱波羅蜜 |
| |
17.구경무아분 究竟無我分 |
~ 불고수보리 약선남자선여인 발아누다라삼먁삼보리심자 ~ 佛告須菩提 若善男子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당생여시심 ~ 當生如是心 ~ |
약, 심 若, 心
|
|
~ 수보리 실무유법 발아누다라삼먁삼보리심자 수보리 ~ 須菩提 實無有法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須菩提 |
심 心 |
| |
18.일체동관분 一體同觀分 |
~ 여일항하중소유사 유여시사등 항하 ~ 如一恒河中所有沙 有如是沙等 恒河 |
사 沙 |
|
25.화무소화분 化無所化分 |
~ 수보리 범부자 여래설 즉비범부 시명범부 ~ 須菩提 凡夫者 如來說 卽非凡夫 是名凡夫 |
시명범부 是名凡夫 |
|
27.무단무멸분 無斷無滅分 |
~ 여약작시념 발아누다라삼먁삼보리심자 설제법단멸상 ~ 汝若作是念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說諸法斷滅相
막작시념 하이고 ~ 莫作是念 何以故 ~ |
심 心
|
상 相
|
28.불수불탐분 不受不貪分 |
~ 승전보살소득공덕 하이고 수보리 ~ ~ 勝典菩薩所得功德 何以故 須菩提 ~ |
하이고 何以故 |
|
30.일합이상분 一合異相分 |
~ 시미진중 영위다부 수보리언 심다세존 ~ ~ 是微塵衆 寧爲多不 須菩提言 甚多世尊 ~ |
수보리언 須菩提言 |
|
▣ 정종분(正宗分) 중 총 15개 부분에서 29자(字)를 삭제하고 1자(字)를 첨가함. ▣ 한자(漢字)의 표기 및 독음 변경 ■ 1. 법회인유분 / 착의지발(着衣持鉢)의 착(着)을 ⇒ 착(著)으로 변경. ← (1개소) 2. 선현기청분 / 우슬착지(右膝着地)의 착(着)을 ⇒ 착(著)으로 변경. ← (1개소) ■ 아뇩다라삼먁삼보리 ⇒ 아누다라삼먁삼보리로 독음표기 변경. ← (29개소) 阿耨多羅三藐三菩提 阿耨多羅三藐三菩提 ■ 9. 일상무상분 / 수다원(須陀洹)과 사다함(斯陀含)의 다(陀)를 다(陁)로 변경 ← (8개소) |
'경전 공부방 >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의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의 말 뜻은? (0) | 2011.01.12 |
---|---|
九類衆生 (구류중생) (0) | 2010.11.28 |
금강경 사구게 (0) | 201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