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때문에 생기는 대표적 병>
▶알코올 의존도 체크하기
증세가 심각하면 병원을 찾는 것도 방법입니다. 그렇지는 않다면 아래 수칙을 꼭 지키세요.
①피치 못할 술자리라면 물을 많이 마시고 안주를 많이 먹는 등 가급적 취하지 않도록 노력한다.
②운동을 적절히 하면 뇌가 건강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므로 일주일에 최소한 3차례 이상 땀을 흘리면서 운동한다.
③티아민 보충도 도움이 된다. 티아민은 술뿐 아니라 항생제·카페인·경구피임약 등을 먹어도 파괴된다. 음식물에서는 현미·계란 노른자·생선·돼지고기·완두콩 등에 풍부하다. 티아민은 하루 25~100㎎이면 충분하지만 알코올 중독자에겐 100㎎ 이상을 권한다. 일부 영양제는 IU 단위를 쓰는데 ㎎에 1.5를 곱하면 된다. 비타민 영양제는 커피나 차와 함께 먹으면 활성이 떨어진다.
티아민이 체내에서 제대로 기능하려면 마그네슘을 같이 섭취하는 게 좋다. 마그네슘은 녹색잎채소나 견과류·씨앗류, 그리고 현미·통밀·통보리 등 전곡류와 콩에 많다.
④술을 많이 마시면 B6(피리독신)·B9(엽산) 등 뇌 신경계에 필수적인 비타민B군이 파괴되므로 필름이 자주 끊기는 술꾼은 이를 보충해야 한다.
피리독신은 계란·닭고기·전곡류·콩·양배추·시금치·당근 등에 풍부하고, 엽산은 현미·아스파라거스·보리·치즈·쇠고기·닭고기·콩·푸른 잎 채소·전곡류 등에 많다. 술꾼은 대개 식습관이 나빠 음식을 통해 이들 비타민을 섭취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비타민제를 별도로 복용할 필요가 있다.
⑤피곤한 상태에서 술을 마시지 않는다. 하루 과음했으면 가급적 며칠 동안은 술을 피한다.
⑥술 마신 다음에는 휴식과 영양 보충이 필수적.
복어, 매생이 굴국, 칡차 등의 해장음식과 물, 과일을 충분히 섭취한다.
⑦필름이 끊기는 사고가 되풀이된다면 이번 기회에 술을 끊도록 한다.
적어도 3개월 이상 술을 아예 멀리하면서 체력을 보충하는 것도 방법.
'건강 > 건강하게 살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취에 좋은 음식 10가지 (0) | 2010.12.12 |
---|---|
손발 찰 때 누르면 좋은 지압지점 8군데 (0) | 2010.12.07 |
스트레스와 과로 쌓일수록 목 건강 신경쓰세요 (0) | 2010.11.28 |
공기정화식물이란? (0) | 2010.11.15 |
질병 고치는 손가락 지압법 (0) | 201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