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자 의미와 유래
"卍"자는 우리나라에서 불교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표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卍"자는 십자가와 마찬가지로 예전부터 세계 각지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그 기원에 대해서도 여러 설이 있다.
인도에서는 비슈누 신의 가슴에 난 털 모양이 "卍"자 모양이었다고 한다.
태양을 숭배했던 아리안족은 태양의 방광을 본 뜬 모습이라고 해 숭배했다.
아메리카인디언은 방향이나 바람의 상징으로,
중국에서는 난간 무늬로 사용했다.
인도이외에도 아시리아, 그리스, 로마 등 고대문명이 찬란했던 지역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모양이 "卍"자다.
인도 사람들은 훌륭한 사람의 모습에는 "卍"자 모양이 많이 있다고 믿었다.
불교상징하는 표지
길상과 만덕을 의미
부처님의 가슴의 털 모양도 "卍"자 모양이었다고 한다.
발가락과 발등, 발꿈치, 복사뼈, 정강이, 무릎, 장딴지, 허리, 옆구리, 배 등에도 "卍"자 모양이 있었다.
〈수행본기경〉에는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수도할 때 풀을 깔고 앉았는데, 그 풀의 모양이 "卍"자 모양의 길상초였다고 한다.
인도의 아마라파티에서 출토된 불상 족석(足石)에 여러개의 "卍"자가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만자는 산스크리트어로 "srivasta" 다.
"sri"는 행복, 번영을 뜻한다.
만자를 사용하는 세계 각국에서도 卍자를 희망과 길상, 상서롭다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卍자는 영어의 "L"자 4개로 구성돼 있다.
현대 서구에서는 이 4개의 "L"자를 생명(Life), 광명(Light), 사랑(Love), 자유(Liberty)를 뜻하는 머리글자로 해석하는 학자들도 있다.
만자는 오른쪽으로 도는 우만자와 왼쪽으로 도는 좌만자(卍)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좌만자를 주로 사용하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굳이 구별하지 않고 있다.
만(卍)자의 의미 (Meaning of the swastika(卍) in Buddhism)
When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under the sala tree, the weeds he was sitting on were called "weeds of good fortune" which were pressed into the shape of a swastika. Later on, a swastika, representing the "weeds of good fortune" became a symbol of Buddhism. The swastika is a symbol of peace, harmony and good luck.
석가모니 부처가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얻었을 때 그가 앉았던 곳의 풀들이 만(卍)자 모양으로 눌러져있어 이를 "운의 풀"라 불렸다. 이후 만자는 "운의 풀" 나타내게 되었고 불교의 상징물이 되었다. 만자는 평화와 조화, 행운을 상징한다.
The swastika is used as a symbol denoting Buddhism and temple locations. The swastika is an ancient and mystical religious symbol adopted from India, and stands for happiness and virtue.
만자는 불교와 사찰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쓰인다. 만자는 행복과 덕행을 나타내는 오랜 종교상의 신앙적 상징물로 인도로부터 받아들인 것이다.
'불교 공부방 > 불교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상의 종류 (0) | 2010.11.28 |
---|---|
목탁,요령,풍경의 의미 (0) | 2010.11.28 |
대승(大乘)과 소승(小乘) (0) | 2010.11.28 |
공양과 육법공양 (0) | 2010.11.28 |
거사와 처사 (0) | 2010.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