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내 정보 이용 내역 확인하기

法雨_김성근 2014. 4. 24. 15:13
내 정보 이용 내역 확인하기
AhnLab | 2014-04-23

직장인 위현해 씨는 올 초 카드사 개인정보유출 사건에서 카드번호,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 결제계좌 등 중요 정보가 유출됐다. 몇 차례 정보가 유출되고 보니 별 일 있을까 생각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불안한 마음은 쉽게 떨칠 수 없다.    

 

개인정보유출 사건 이후 혹시라도 내 주민등록번호와 휴대전화번호가 유출돼 악용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불안하다. 이번 기회에 주민등록번호 이용 내역과 통신서비스 이용 내역 서비스를 조회해보는 것은 어떨까. 먼저 주민등록번호 이용 내역을 확인해보자.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해 웹사이트 방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휴대전화번호로 통신서비스 개통 이력을 조회하고 통신서비스 명의도용 방지 제한 서비스를 신청해보자.


 

주민등록번호 조회로 사이트 이용 내역 확인


유출된 내 주민등록번호로 어느 사이트에 가입했는지 확인할 수 없을까? 위현해 씨는 이번 기회에 거의 찾지 않는 웹사이트를 찾아 정리하기로 마음 먹었다. 하지만 언제 어느 사이트에 가입했는지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기억을 더듬어 사이트마다 찾아 들어가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운영하는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clean.kisa.or.kr/mainList.do)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언제 어느 사이트에서 주민등록번호가 이용됐는지, 회원가입용인지, 본인확인용인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실명확인을 거쳐 주민등록번호 이용 내역을 조회하면 신용평가회사별로 이용 횟수가 나온다. 숫자를 클릭하면 상세한 이용 내역이 페이지에 나타나며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용 내역 확인 후 회원탈퇴가 필요한 곳은 직접 사이트에 접속해 신청하면 된다. 사이트마다 일일이 찾아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한번쯤은 해야 할 일이며 더 이상의 정보유출을 막는데도 도움이 된다. 회원탈퇴가 어렵다면 클린센터에 도움을 요청하면 된다.

 
 

ㅇㄹㅇㄹ
▲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에서 주민등록번호 이용 내역을 조회하면 사이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휴대전화번호 도용 조회하고 통신서비스 도용 차단하기


주민등록번호 유출 다음으로 위현애 씨가 걱정하는 것은 휴대전화번호 유출이다. 정보유출 이후 스팸 문자, 스미싱 문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때마침 위현해 씨는 인터넷 결합상품 서비스의 약정기간이 만료돼 자신의 명의로 다른 통신사 서비스에 가입했다. 가입하자마자 ‘M-Safer’에서 곧바로 문자가 날라왔다. ‘위현해님 명의로 04/21 [*****]에 가입되었습니다.’

 

알아 보려던 차에 안내 문자를 받으니 조금은 안심이 된다. 문자메시지에 링크된 주소(www.msafer.or.kr)를 클릭해 사이트에 접속한다. 통신서비스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사이트였다.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공공기관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가 극성을 부리고 있으므로 무조건 링크하지 말자. 스미싱 탐지 앱(안랩 안전한 문자)으로 안전한지 확인한 후 링크 클릭을 권한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는 휴대전화 명의도용으로 인한 피해예방을 위해 'M-Safer(명의도용방지서비스)'를 운영중이다. M-Safer에서는 이동전화 개통 시 본인 명의의 모든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보내준다. 명의도용시 본인이 즉시 알 수 있도록 알려주는 무료서비스이다.

또한 M-Safer는 통신 서비스 전반에 대한 조회도 가능하다. 내가 가입한 통신서비스부터 통신요금 납부 조회, 이동전화가입제한 신청도 할 수 있다. 이동전화가입제한 신청은 본인 명의의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지점 방문 없이 홈페이지에서도 가능하다.

 
주민등록번호 이용내역 조회하기나 통신서비스 명의 조회 서비스가 번거로운 일일 수 있지만, 스스로 챙기지 않으면 누가 지켜주지 않듯이 이번 기회에 조회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또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안하다면 신용정보회사에서 유료로 제공하고 있는 명의도용차단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도 정보유출로 인한 피해를 조금은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