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공부방/불교 공부방

심우도 尋牛圖 / 십우도 十牛圖

法雨_김성근 2010. 11. 18. 21:40

                             

─────────────────────────

심우도 尋牛圖 』/십우도十牛圖
─────────────────────────
  

 

 심우도尋牛圖인간의 본성을 찾아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목동이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해

 

묘사한 것으로,목우도牧牛圖라고도 한다. 대개는 소와 소치는 동자가 등장하며 때로는 소와

스님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는데, 모두 10개의 장면으로 구성된다.


수행자가 본성本性[소]을 잃어버린 뒤 그것을 찾아 헤매는 그림부터 소를 찾은 후 다시 중생

이 있는 곳으로 향하는 모습으로, 곧 선을 닦아 마음을 수련하는 순서를 소에 비유하여,

소를 찾고 얻는 과정과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 1. 심우[尋牛]     소를 찾아 나선다.            찾을 심

                             

                               

 

                              망망발초거추심 [茫茫撥草去追尋]   다스릴 발  찾을 심
                              수활산요로갱심 [水闊山遙路更深]   넓을 활     遙 멀 요 
      

                              역진신피무처멱 [力盡神疲無處覓]   찾을 멱 
                              단문풍수만선음 [但聞楓樹晩蟬吟]   단풍 풍

 

                              망망茫茫한 수풀을 헤치고 소의 자취를 찾노니
                              강물은 넓고 산은 험하여 길은 더욱 깊기만 하다.  

                              힘이 다하고 기력이 떨어져 지쳐 찾을 길 없는데
                              다만 숲속 나뭇가지엔 매미 우는 소리만 들리네.

 
이것은 처음 수행을 하려고 발심發心한 수행자가 아직은 선이 무엇인지 참마음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하지만 그것을 찾겠다는 열의로 공부에 임하는 모습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 2.견적[見跡]     동자승이 소의 발자국을 발견.

 

 

                                 수변임하적편다 [水邊林下跡偏多]   邊 가 변
                                 방초리피견야마 [芳草離披見也麽]   披 헤칠 피
                                 종시심산갱심처 [縱是深山更深處]   縱 비록 종
                                 요천비공즘장타 [遼天鼻孔怎藏他]   遼 멀 요     怎 어찌 즘 

 

                                 물과 나무 아래 수많은 발자국
                                 풀이 우거졌으나 이를 헤치고 찾아본다.
                                 비록 이곳이 산이 깊고 골짜기가 깊다 해도 
                                 하늘향한 그 코를 어찌  감출 수 있겠는가

 

  견적見跡이란 흔적을 보았다는 것으로 소의 발자국을 본 것으로, 이것은 우리가

  가야할 길을 보여주는 것으로 스승 선인들의 발자취를 찾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 3.견우[見牛]    소의 꼬리를 발견.

 

 

                             황앵지상일성성 [黃鶯枝上一聲聲]     鶯 꾀꼬리 앵
                             일난풍화안류청 [日暖風和岸柳靑]     岸 언덕 안
                             지차갱무회피처 [只此更無回避處]     避 피할 피
                             삼삼두각화난성 [森森頭角畵難成]     森 한 모양 삼

 

                             금빛 꾀꼬리 나뭇가지 위에서 지저귀고
                             따뜻한 날 화풍에 언덕 위 버들가지 푸르네.
                             더 이상 빠져나갈 곳 다시 없나니
                             당당한 쇠뿔은 그림으로도 그릴 수 없노라.

 

            견우見牛란 소를 보았다는 것으로 우리의 감각 작용에 몰입하면

            마음의 움직임을 뚜렷이 느낄 수 있으며, 우리는 소를 보게 됩니다.

 


◇ 4.득우[得牛]      소를 얻다

 

 

                             갈진정신획득거 [渴盡精神獲得渠]      渠 개천 거
                             심강역장졸난제 [沈强力壯卒難除]

                             시유재도고원상 [時有纔到高原上]      
 비로소 재

                             우입연운심처거 [又入煙雲深處居]

 

                             정신을 가다듬어 소를 얻었지만
                             사납고 힘이 세어 다루기 어려워라.
                             어느 때는 높은 산 위에 이르고
                             혹은 깊은 구름 속에 숨으려 한다.

 

 마음을 보긴 보았는데 그 마음이 삼독三毒에 물들어서 마치 땅 속에서 아직 제련製鍊되지

 않는 금광석을 막 찾아낸 것과 같은 거친 상태이므로 더욱 공부에 힘써야 하는상태 입니다.


◇ 5.목우[牧牛]      소를 기르다. 이제 우리는 마음을 잡은 것이다.

 

 

                             편색시시불리신 [鞭索時時不離身]    鞭 채찍 편
                             공이종보입애진 [恐伊縱步入埃塵]    埃 티끌 애
                             상장목득순화야 [相將牧得純和也]
                             기쇄무구자축인 [羈鎖無拘自逐人]    羈 말고삐 기

 

                             채찍과 고삐를 늘 떼놓지 않음은
                             그대가 진애塵埃으로 들어감이 두려워
                             그러나 잘  길들이고 순화純和되면
                             고삐잡지 않아도 스스로 사람을 따르네

 

  목우牧牛는 거친 소를 길들이는 모습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 때의 소의 모습은  검은

  색에서 흰색[白牛]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삼독[탐진치]의 때를 지우는  단계로서,

  자신을 다스리고 자기 마음을 유순柔順하게 길들이는 단계입니다.



◇ 6.기우귀가[騎牛歸家]      소를 타고 피리를 불며 집으로 돌아가다.

 

 

                             기우이려욕환가 [騎牛迤麗欲還家]    비스듬할 이
                             강적성성송만하 [羌笛聲聲送晩霞]   羌 오랑캐 강  霞노을 하
                             일박일가무한의 [一拍一歌無限意]
                             지음하필고진아 [知音何必鼓唇牙]  唇 입술 진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노라니
                             오랑캐 피리소리 저녁노을 속에 울리네
                             한 박자 한 곡조마다 무한한 뜻이 담겨 있으니
                             곡조를 아는 이가 어찌 헛된 말 하리.

 

동자가 구멍 없는 피리를 불며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묘사描寫하고 있습니다.

이 때의 소는 완전히 흰색으로서 동자와 일체가 되어서 피안의 세계로 나아가게 됩니다. 
구멍 없는 피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는 가히 육안으로 살필 수 없는 본성의 자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를 상징象徵하고 있습니다.

 


◇ 7.망우재인[忘牛在人]      소를 잊고 사람만 남다.

 

 

                              기우이득도가산 [騎牛已得到家山]
                              우야공혜인야한 [牛也空兮人也閑]    兮 어조사 혜
                              홍일삼간유작몽 [紅日三竿猶作夢]    猶 오히려 유
                              편승공돈초당간 [鞭繩空頓草堂間]    繩
노끈 승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니
                              소는 간 곳 없고 사람은 한가롭다
                              해가 석 자나 떴는데도  오히려 꿈이려니
                              소용없는 고삐와 채찍은 초당간에 던져두노라.


 

 소는 잊고 사람만 있다. 이제 때가 왔으니 우리는 채찍과 고삐를 다 내버리고, 초가집에서

 살아간다. 집에 돌아와서는 그동안 애쓰며 찾던 소는 잊어버리고 자기만 남아 있다는 내용.

 본래 자기마음을 찾아 이제 나와 하나가 되었으니 굳이 본성에 집착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 8.인우구망 [人牛俱忘]        사람도 소도 완전히 잊다.

 

 

                            편삭인우진속공 [鞭索人牛盡屬空]     屬 무리 속
                            벽천요활신난통 [碧天遼闊信難通]     闊 넓을 활
                            홍로염상쟁용설 [紅爐焰上爭容雪]     焰 불꽃 염

                            도차방능합조종 [到此方能合祖宗]     此 이 차

 

                            채찍과 소와 사람이 모두 공하니  
                            맑고 푸른 하늘 멀고 높아 소식 전하기 어렵구나    

                            붉은 화로의 불꽃이 어찌 흰 눈을 용납하리오
                            이 경지에 이르러 비로소 조사의 마음과 하나가 되도다.

 

 

소를 잊은 다음 자기 자신도 잊어버리는 상태를 묘사한 것으로서 텅 빈 원상圓相만을 그리게

 됩니다. 객관客觀적인 소를 잊었으면 이번에는 주관主觀적인 자신 또한 성립되지 않는다는

원리를 깨달아야 하는 것입니다. 이제 본성에도 집착하지 않고 나를 모두 비웠으니 자타自他

가 다르지 않고 내외內外가 다르지 않으니, 전부가 오직 공이라는 뜻.

 


◇ 9. 반본환원 [返本還源]       근원으로 되돌아 가다.

  

 

                                 반본환원이비공 [返本還源已費功]   費 쓸 비 
                                쟁여직하약맹롱 [爭如直下若盲聾]   聾 귀먹을 롱
                                암중불견암전물 [庵中不見庵前物]

                                수자망망화자홍 [水自茫茫花自紅]  茫 아득할 망

 

                                근원으로 돌아와 돌이켜 보니 이미 헛된 공이니  
                                차라리 장님과 귀머거리와 같을 것을
                                암자에 앉아 밖의 사물을 보지 않아도
                                물 저절로 잔잔하고 꽃은 스스로 붉구나. 

 

강은 잔잔히 흐르고 꽃은 빨갛게 피어 있는 여실한 모습. 진리는 맑디 맑다.

 

고요한 마음의 평정 속에서 나타나고 사라지는 모든 형상들을 바라 본다.
형상에 집착하지 않는 자는 어떠한 꾸밈도, 성형成形도 필요하지 않다.

 

 이제 주객이 텅 빈 원상 속에 자신의 모습이 있는 그대로 비침을 묘사합니다.
"산은 산이오. 물은 물이라."
만물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는 참된 지혜를 상징한 것입니다.



◇ 10. 입전수수[入廛垂手]       저자에 들어가  중생을 돕다.     가게, 전방廛房     

  

 

                              노흉선족입전래 [露胸跣足入廛來]    跣 맨발 선
                              말토도회소만시 [抹土塗灰笑滿顋]    顋  뺨 시 
 

                              불용신선진비결 [不用神仙眞秘訣]    訣  이별할 결
                              직교고목방화개 [直敎枯木放花開]

 

                             가슴을 헤치고 맨발로 거리에 서니
                             흙을 바르고 재투성이지만 얼굴 가득한 웃음 
                             신선神仙의 비결秘訣 쓰지 않고도
                             당장 마른 나무에 꽃이 피게 하는구나.


지팡이에 큰 포대를 메고 사람들이 많은 곳으로 가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때 큰

포대는 중생들에게 베풀어 줄 복과 덕을 담은 포대로서, 불교의 궁극적인 뜻이 중생의

제도에 있음을 상징한 것입니다. 표주박 차고 거리에 나가 지팡이를 짚고 집집마다 다니며

스스로 부처가 되게 하고 모든 중생을 제도하여 불국[佛國]을 건설한다는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