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공부방/전각, 기타

공포의 구조(양식)

法雨_김성근 2010. 12. 12. 20:24

 1. 공포(包)란


     처마끝의 하중을 기둥에 전달하는 부재로써, 구조재이자 장식재의 기능을 하며, 건축물 형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재임.


2. 공포의 종류


 1) 주심포: 기둥위에만 공포를 배치하는 형식(삼국시대 이후 고려초에 많이 보급) 주로 맞배지붕과 배흘림기둥과 결합한 형태를 띔.

            → 예: 봉정사 극락전/무석사 무량수전/수덕사 대웅전)


               

 

 

 

 2) 다포: 기둥은 물론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하는 형식

               화려하고 장중한 분위기를 자아냄. ( 고려후기,조선 초.중기에 많이 보급)

                 → 예: 서울 남대문/법주사 팔상전/해인사 대적광전

 

 

              

 


 

 

 

 

 


 3) 익공 : 주심포(구성요소)와 다포(세부기법)의 공포형식이 혼용된 것으로 볼 수 있음

                (조선 초기이후의 소규모 건물에 많이 나타남)

                   → 예: 강릉 오죽헌/서울 명륜당/수원 화서문